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📋 파지(폐지) 재활용 사업에 대한 정부 보조금 및 혜택 총정리
폐지 재활용 사업은 직접 보조금보다는 간접적 지원, 세금 혜택, 정책적 수요 창출 중심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환경보호와 순환경제 촉진을 위한 국가적 목표 아래, 활용 가능한 지원책들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.
✅ 1. 주요 정부 지원 제도 요약
항목 | 내용 | 지원 형태 | 조건/규모 |
---|---|---|---|
1. 환경정책자금 융자 | 설비, 운전자금 저리 대출 | 장기 저리 융자 | 최대 100억 (시설) / 10억 (운영) |
2. 매입세액 공제 | 재활용 폐자원 매입 시 세금 환급 | 부가세 특례 공제 | 과세표준의 일정 비율 |
3. EPR 제도 | 종이팩 등 재활용 의무화로 간접 수요 발생 | 간접 정책 지원 | 시장 안정화 효과 |
4. 새활용(업사이클링) | 재활용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지원 | 자금 지원 | 최대 1억 원 (공모사업) |
5. 지자체 지원사업 | 설비 보조, 컨설팅, 기술개발 등 | 지역 공고형 | 지자체별 상이 |
🔍 2. 상세 제도 분석
📌 1.1 환경정책자금 융자
- 기관: 환경부, 한국환경산업기술원(KEITI)
- 대상: 폐지 재활용 중소기업 등 환경산업체
- 지원 내용: 시설자금(최대 100억), 운전자금(최대 10억)
- 조건: 3년 거치 7년 상환 / 2년 거치 3년 상환
📌 1.2 매입세액 공제
- 내용: 간이과세자 등으로부터 폐지 매입 시 부가세 환급
- 공제 기준: 과세표준의 일정 비율 (과거 80%)
- 활용: 부가세 확정신고 시 적용
📌 1.3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(EPR)
- 내용: 종이팩 등 재활용 대상 제품에 생산자 재활용 의무 부과
- 간접효과: 재활용 업체의 수요 창출과 시장 안정화
📌 1.4 새활용 산업 지원
- 대상: 재활용 자원으로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
- 내용: 최대 1억 원, 사업별 공모
- 기관: 환경부, 한국디자인진흥원 등
📌 1.5 지자체 및 유관기관 지원
- 내용: 창업보조, 기술개발, 장비구축 등 다양한 형태
- 기관: 환경공단, 지자체 환경과, KORA 등
🧭 3. 유용한 정보 포털 모음
🧭 3. 유용한 정보 포털 모음
기관명 | 지원 내용 | 접속 주소 |
---|---|---|
환경부 | 전체 정책 총괄 | www.me.go.kr |
한국환경산업기술원 | 융자 신청 및 공고 | www.keiti.re.kr |
자원순환정보시스템 | 재활용 관련 데이터 및 창업 정보 | www.recycling-info.or.kr |
비즈인포 | 중소기업 지원 정책 통합 | www.bizinfo.go.kr |
- 🌐 환경부: www.me.go.kr
- 🌐 한국환경산업기술원(KEITI): www.keiti.re.kr
- 🌐 자원순환정보시스템: www.recycling-info.or.kr
- 🌐 비즈인포(중기부): www.bizinfo.go.kr
📌 요약
폐지 재활용 사업은 정부로부터
직접 보조금보다는 융자·세금 공제·시장 수요 창출
중심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환경정책자금 융자와 매입세액 공제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, 새활용 사업은 창의적 제품 개발에 적합한 보조금 기회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