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드론

유인 드론 개발사 및 대표 기종

happyseon1 2025. 3. 28. 10:07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글로벌 유인 드론(eVTOL) 주요 기업

    유인 드론은 eVTOL(전기 수직이착륙기)로 불리며, 도심 항공 모빌리티(UAM)의 핵심 기술로 빠르게 발전 중입니다. 아래는 국가별 주요 기업과 대표 기체 정보입니다.

    🇺🇸 Joby Aviation

    joby S4 사진
    joby S4

     

    • 기종: Joby S4
    • 탑승: 1명 조종사 + 4명 승객
    • 특징: 최대 240km, 6개 틸트로터, 속도 320km/h
    • 현황: FAA 인증 진행, 2025 상용화 목표

    🇩🇪 Volocopter

    volocopter 2x
    Volocopter 2x

     

    • 기종: Volocopter 2X / VoloCity
    • 탑승: 2명
    • 특징: 다수 로터, 도시 단거리, 매우 정숙
    • 현황: 2024 파리올림픽 시범 비행 예정

    🇨🇳 EHang

    Ehang-216모델
    Ehan 216 모델

     

    • 기종: EHang 216
    • 탑승: 2명 (완전 자율)
    • 특징: 중국 내 자율 운항, 물류 및 관광용 확대
    • 현황: 중국 일부 도시에서 시범 운용 중

    🇺🇸 Archer Aviation

    Archer Midnight 모델
    Archer Midnight 모델

     

    • 기종: Archer Midnight
    • 탑승: 4명 + 조종사
    • 특징: 최대 160km, 틸트+고정 로터 혼합형
    • 현황: United Airlines와 파트너십, 2025 상용화 예정

    🇰🇷 Supernal (현대자동차 그룹)

    S-A1 모델
    S-A1 모델

    • 기종: SA-1
    • 탑승: 4~5명 + 조종사
    • 특징: 틸트로터 방식, 전동식, 도심형 이동수단
    • 현황: 미국 개발 중, 국내 시범노선 구상 중

    🇯🇵 SkyDrive

    SD-05
    SD-05

     

    • 기종: SD-05
    • 탑승: 2명
    • 특징: 초경량, 일본 엑스포 공개 예정
    • 현황: 일본 국토교통성과 인증 협의 중

    🇫🇷 Ascendance Flight Technologies

    ATEA 모델
    ATEA 모델

     

    • 기종: ATEA
    • 탑승: 5명
    • 특징: 하이브리드 방식, 장거리 비행(400km+)
    • 현황: 유럽 장거리 상용기 시장 목표

    기술 방식별 분류

    기술 방식 대표 기체 설명
    틸트로터 Joby S4, Supernal SA-1 수직 이착륙 후 수평 비행 전환 가능
    멀티로터 Volocopter, EHang 정숙하고 안정적, 거리·속도 제한
    복합익+전기 ATEA 장거리 이동용 고효율 eVTOL
    자율비행형 EHang 216 파일럿 없이 완전 자율 운항

    정리 요약

    • 미국: Joby, Archer – 기술 선도, 투자 활발
    • 유럽: Volocopter, Ascendance – 도시 친화형
    • 중국: EHang – 세계 최초 상용화
    • 한국: Supernal – 2028년 시장 진입 목표
    • 일본: SkyDrive – 소형 경량 중심

    ※ 최신 정보는 각 기업의 공식 홈페이지와 투자 보고서를 참고하세요.

    반응형